본문 바로가기
정보

지긋지긋한 윈도우 10 잠금화면, 로그인 암호 해제하고 1초 만에 바탕화면 진입하는

by 392asfkasfa 2025. 10. 3.
지긋지긋한 윈도우 10 잠금화면, 로그인 암호 해제하고 1초 만에 바탕화면 진입하는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지긋지긋한 윈도우 10 잠금화면, 로그인 암호 해제하고 1초 만에 바탕화면 진입하는

꿀팁!

목차

  1. 윈도우 10 잠금 화면 및 로그인 암호란?
  2. 로그인 암호를 해제해야 하는 이유
  3. 로그인 암호 해제 방법 1: 사용자 계정 설정 변경
    • 'netplwiz' 명령어를 통한 설정 접근
    • 암호 입력 요구 체크 해제 및 적용
    • 변경 사항 확인 및 완료
  4. 로그인 암호 해제 방법 2: PC 설정에서 PIN 또는 비밀번호 제거
    • '설정' 앱을 통한 접근
    • '계정' 및 '로그인 옵션' 메뉴 활용
    • PIN 및 암호 제거 절차
  5. 잠금 화면 제거 방법: 레지스트리 편집기 활용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 특정 경로 이동 및 새 DWORD 값 생성
    • 값 데이터 수정 및 재부팅
  6. 보안과 편의성 사이의 균형 잡기

1. 윈도우 10 잠금 화면 및 로그인 암호란?

윈도우 10을 사용하는 분이라면 누구나 PC를 켤 때마다 혹은 절전 모드에서 복귀할 때마다 잠금 화면을 보게 되고, 그 다음으로 로그인 암호를 입력해야 하는 화면을 마주하게 됩니다. 잠금 화면은 아름다운 배경 이미지를 보여주거나 알림, 코타나(Cortana) 정보 등을 표시하는 일종의 '미리 보기' 화면입니다. 이 화면을 지나면 보안을 위해 설정된 PIN, 비밀번호, 혹은 지문 인식 등의 로그인 암호를 입력해야만 비로소 바탕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로그인 과정은 기본적으로 PC 내부 데이터의 무단 접근을 막고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보안 조치입니다. 하지만 나 혼자 사용하는 개인 PC라거나, 빠른 부팅과 즉각적인 작업 시작이 중요할 때는 매번 이 과정을 거치는 것이 비효율적이고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재부팅을 자주 하는 사용자에게는 시간 낭비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2. 로그인 암호를 해제해야 하는 이유

가장 큰 이유는 단연코 편의성 향상시간 절약입니다. 로그인 암호를 해제하면 PC를 켜자마자, 혹은 절전 모드에서 깨어나자마자 단 1초 만에 바로 바탕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특히 작업의 흐름이 끊기는 것을 최소화하고 싶은 사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물론, 보안상의 위험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암호가 없다면 타인이 쉽게 PC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정을 적용하기 전에는 PC 사용 환경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공용 공간이나 사무실 등 타인이 접근할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PC를 사용한다면 이 설정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집에서 혼자 사용하는 환경이라면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하고 곧바로 윈도우 10 바탕화면으로 진입하는 구체적이고 자세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3. 로그인 암호 해제 방법 1: 사용자 계정 설정 변경

윈도우 10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효과적인 방법은 'netplwiz' 명령어를 이용한 사용자 계정 설정 변경입니다. 이 방법은 잠금 화면을 건너뛰고 자동으로 로그인되게끔 설정하여 암호 입력 과정을 생략하게 해줍니다.

'netplwiz' 명령어를 통한 설정 접근

먼저, 키보드의 [윈도우 키] + [R] 키를 동시에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실행 창이 나타나면 입력란에 netplwiz라고 정확하게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Enter] 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사용자 계정'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암호 입력 요구 체크 해제 및 적용

'사용자 계정' 창 상단에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이라는 문구 옆에 체크 박스가 보일 것입니다. 이 체크 박스가 현재 암호 입력 기능을 활성화하고 있는 핵심입니다.

체크 박스를 클릭하여 체크를 해제합니다. 체크를 해제했다면 이제 하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변경 사항 확인 및 완료

[적용]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 로그인' 설정 창이 새로 뜹니다. 이 창에서는 자동 로그인을 적용할 사용자 이름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변경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는 현재 암호를 알고 있는 정당한 사용자만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절차입니다.

  • 사용자 이름(U):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계정 이름이 맞는지 확인합니다.
  • 암호(P): 현재 윈도우 10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던 실제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 암호 확인(C): 암호를 한 번 더 확인차 입력합니다.

모든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했다면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사용자 계정' 창으로 돌아가는데, 여기서도 [확인] 버튼을 눌러 모든 설정을 저장하고 창을 닫습니다. 재부팅을 해보면 암호 입력 없이 자동으로 바탕화면으로 진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로그인 암호 해제 방법 2: PC 설정에서 PIN 또는 비밀번호 제거

첫 번째 방법이 자동 로그인을 통해 암호 입력을 생략하는 것이었다면, 이 방법은 아예 PIN이나 비밀번호 자체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 비밀번호 자체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으며, PIN을 제거하는 데 유용합니다.

'설정' 앱을 통한 접근

키보드의 [윈도우 키] + [I] 키를 동시에 눌러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설정 창에서 '계정' 메뉴를 클릭하여 들어갑니다.

'계정' 및 '로그인 옵션' 메뉴 활용

'계정' 메뉴의 왼쪽 목록에서 '로그인 옵션'을 선택합니다. 이 메뉴에는 Windows Hello PIN, 비밀번호, 그림 암호 등 다양한 로그인 방식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PIN 및 암호 제거 절차

  1. Windows Hello PIN: 만약 PIN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Windows Hello PIN' 항목을 클릭하고 아래 나타나는 [제거] 버튼을 클릭합니다. PIN 제거를 위해서는 현재 계정의 비밀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야 합니다.
  2. 비밀번호: '비밀번호' 항목을 클릭하고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현재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새 비밀번호 입력 칸들을 모두 공란(빈칸)으로 남겨두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완료하면 비밀번호를 완전히 해제할 수 있습니다. 로컬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에 이 방법으로 비밀번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계정의 경우, 계정 자체의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습니다.

5. 잠금 화면 제거 방법: 레지스트리 편집기 활용

위에 소개된 두 가지 방법이 주로 '로그인 암호 입력'을 생략하게 해주는 방법이었다면, 이번 방법은 PC를 켰을 때 첫 화면으로 나오는 아름답거나 정보를 표시하는 '잠금 화면' 자체를 완전히 건너뛰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즉, PC를 켜면 바로 로그인 화면으로 넘어가게 합니다 (로그인 암호는 3번 방법으로 해제되었다는 가정 하에 바로 바탕화면으로 진입). 이 방법은 레지스트리를 건드려야 하므로 정확한 경로와 값 입력이 중요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키보드의 [윈도우 키]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여기에 regedit라고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뜨면 [예]를 눌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특정 경로 이동 및 새 DWORD 값 생성

레지스트리 편집기 왼쪽 탐색 창에서 다음의 경로를 순서대로 찾아 들어갑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Windows' 폴더(키)를 찾았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 만들기(N)] -> [키(K)]를 선택합니다. 새로 생성된 키의 이름을 Personalization라고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이제 새로 만든 Personalization 키를 클릭합니다. 오른쪽의 빈 공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 만들기(N)] -> [DWORD(32비트) 값(D)]을 선택합니다. 새로 만들어진 값의 이름을 NoLockScreen이라고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값 데이터 수정 및 재부팅

새로 생성한 NoLockScreen 값을 더블 클릭합니다. '값 데이터'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나는데, 기본값인 01로 변경합니다. [확인] 버튼을 눌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고 PC를 재부팅합니다. 이제 윈도우 10을 켤 때 잠금 화면이 완전히 생략되고, 만약 3번 방법으로 로그인 암호까지 해제했다면 바로 바탕화면으로 진입하는 쾌적한 환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6. 보안과 편의성 사이의 균형 잡기

지금까지 윈도우 10 잠금 화면과 로그인 암호를 제거하는 구체적이고 자세한 세 가지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 방법들은 PC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줄여주지만, 보안 수준은 낮아진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로그인 암호를 해제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1. 개인 PC 사용 환경: PC를 사용하는 장소가 집처럼 안전하고 나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인지 확인합니다.
  2. 민감 정보 유무: PC에 금융 정보, 업무 기밀, 극도로 사적인 자료 등 타인에게 노출되면 안 되는 민감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민감 정보가 있다면 해제를 재고해야 합니다.
  3. 대안 보안 설정: 암호는 해제하더라도 중요 폴더나 파일에 대해 개별 암호화를 적용하는 등의 대안 보안 조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윈도우 10의 로그인 과정을 해제하는 것은 사용자가 편의성과 보안 사이에서 스스로 균형점을 찾는 과정입니다. 제시된 방법들을 숙지하시고, 개인의 사용 환경에 맞춰 가장 쾌적하면서도 합리적인 윈도우 환경을 구축하시기 바랍니다.